Gitlab CI 설정
-build 수행
프로젝트 페이지로 이동하여 설정부분(Setting)의 build가 활성화 되지 않았으면 활성화 시킨다.
repository 최상단에 .gitlab-ci.yml을 작성하여 올린다.( http://doc.gitlab.com/ee/ci/yaml/README.html) README 파일과 같은 위치
.gitlab-ci.yml 작성법은 https://gitlab.com/help/ci/yaml/README.md#script 참고한다.
add, commit 후 push하면 자동으로 build가 진행된다.
-Runner 설치
build를 진행 하려면 Runner를 설치해야한다. (https://gitlab.com/gitlab-org/gitlab-ci-multi-runner/blob/master/docs/install/linux-repository.md) 참고하면 된다.
Runner 설치 시 URL과 token은 해당 프로젝트의 Runner 화면을 확인한다.(아래 빨간 선 부분)
위 화면까지 했으면 Specific Runner를 생성하였을 것이다.
Shared Runner를 생성하려면 https://gitlab.com/help/ci/runners/README.md 을 참고한다. (해당 내용을 보면 Shared와 Specific Runner의 차이를 알 수 있다.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.)
Runner가 설치 되었으면 Build에서 pending 상태의 작업들이 성공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구미에 맞게 .gitlab-ci.yml을 작성하여 CI를 진행하면 된다.
프로젝트 페이지로 이동하여 설정부분(Setting)의 build가 활성화 되지 않았으면 활성화 시킨다.
repository 최상단에 .gitlab-ci.yml을 작성하여 올린다.( http://doc.gitlab.com/ee/ci/yaml/README.html) README 파일과 같은 위치
.gitlab-ci.yml 작성법은 https://gitlab.com/help/ci/yaml/README.md#script 참고한다.
add, commit 후 push하면 자동으로 build가 진행된다.
-Runner 설치
build를 진행 하려면 Runner를 설치해야한다. (https://gitlab.com/gitlab-org/gitlab-ci-multi-runner/blob/master/docs/install/linux-repository.md) 참고하면 된다.
Runner 설치 시 URL과 token은 해당 프로젝트의 Runner 화면을 확인한다.(아래 빨간 선 부분)
위 화면까지 했으면 Specific Runner를 생성하였을 것이다.
Shared Runner를 생성하려면 https://gitlab.com/help/ci/runners/README.md 을 참고한다. (해당 내용을 보면 Shared와 Specific Runner의 차이를 알 수 있다.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.)
Runner가 설치 되었으면 Build에서 pending 상태의 작업들이 성공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구미에 맞게 .gitlab-ci.yml을 작성하여 CI를 진행하면 된다.
댓글
댓글 쓰기